원금보장형 els상품 수익률과 1억만들기 방법
금리가 너무 떨어져 도저히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할 기분이 안듭니다. 게다가 코로나로 기준금리가 거의 " 빵"으로 가고 있어 앞으로도 당분간 괜찮은 금융상품을 찾기도 어려울거 같아요.
요즘 시중은행의 예적금에 가입하면 1~2%의 금리를 받을수 있는데요 물가상승률과 비교하면 오히려 돈을 맡겨도 실질 구매가치는 오히려 떨어집니다. 어떻게 돈을 모을수 있을지 막막합니다.
한때 els상품이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큰 인기를 끌었는데요 최근에 원금손실도 많이 봤고요 해지도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반면에 기대수익률이 낮아서 외면받던 원금보장형 els상품이 높은 안정성으로 인기상품으로 급부상하고 있어요.
els와 원금보장형 els상품은 안정성에서 큰차이가 납니다. els는 기초자산이 특정구간을 벗어나면 원금을 전액 날릴수도 있지만 원금보장형 els상품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기초자산이 특정 구간을 벗어나더라도 원금이 보장됩니다.
수익률에서도 큰 차이가 나는대요 els 수익률은 7~8%정도 되지만 원금보장형 els 수익률은 2~3% 정도로 예적금보다 1~2%정도 더 높은 수준입니다.
그리고 지금처럼 자본시장의 변동성이 클때는 단기로 짧게 투자하는 것이 유리한데요 원금보장형 els상품은 대부분 만기가 1년6개월이라 짧게 투자하고 금리가 상승할때 더 좋은 조건의 금융상품으로 갈아타기가 유리합니다.
1억만들기 방법
은행 예적금 1~2% 원금보장
원금보장형 els 2~3% 원금보장
els펀드 7~8% 원금손실가능
시중은행 예적금과 원금보장형 els상품, els를 비교해봤는데요 원금보장형 els는 딱 중간에서 양쪽의 장점을 하나씩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2~3%의 기대수익률로는 여전히 돈을 불리고 싶은 갈증을 해소할수 없어요.
1억만들기 목표를 세웠다면 좀더 다양한 도전과 계획이 필요합니다.
1. 통장쪼개기
먼저 쓸데없이 나가는 돈을 통제해야 하는데요 통장쪼개기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투자용, 지출용, 비상용 통장으로 나눠서 돈을 관리해보세요.
2. 적금풍차돌리기
적금 금리가 아무리 낮아도 적금은 꼭 첫 발자국 이어야 합니다. 종잣돈을 만들어야 하고 돈을 모으는 습관을 들일 수 있거든요. 그런데 보통 3~5년 만기로 설정하는데 기간이 너무길죠.
매달 1년 만기의 적금을 개설하는 적금 풍차돌리기 방법을 사용하면 1년마다 만기되는 적금이 돌아와서 적금드는 재미도 알게 되고 중간에 돈이 필요하더라도 일부만 해지하면 되기 때문에 중도해지의 위험에서 벗어날수 있습니다.
3. 포트폴리오 구성
가장 중요한데요 위험, 기대수익률, 기간이 다양한 상품으로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서 전체적으로 수익률은 높이고 위험을 낮추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런 3가지 방법을 잘 활용해서 계획을 세우고 재테크를 시작하면 목표로 하는 1억만들기에 빨리 성공할 수 있는데요 반면에 계획없이 재테크를 하면 5년뒤 또는 10년뒤 만지는 돈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은 경제활동기간이 길기 때문에 첫단추를 어떻게 끼느냐에 따라 그 차이가 더욱 커게 벌어지는데요 반드시 단기,중기, 장기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맞는 금융상품을 찾아서 가입하세요.
그런데 이렇게 내가 원하는 목적과 기간에 맞는 금융상품을 스스로 설계하는건 쉬운일이 아닙니다. 가능히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하는게 좋아요.
재무상담을 해본적이 없다면 이번기회에 반드시 한번 받아보세요. 이런 조건의 상품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대출을 받을 때는 대출금리 비교하는 곳에 많이 알아보고 하는데 재테크 할때는 이렇게 무료로 상담해주고 좋은 조건의 상품을 소개해주는 곳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요.